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13)
(6주차)컴퓨터학 개론 1.데이터베이스(DB)의 개요 데이터 : 단순한 사실에 불과한 아직 처리되지 않은 값 (IOT , BIG 데이터) 정보 :데이터가 사람에게 유용한 의미로 쓰여질 수 있도록 처리된 것 가. 데이터와 정보 -데이터에서 정보로 활용하기 위한 체계적 저장 관리 체계적 저장 관리: 단순한 자료인 데이터의 모임을 정보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저장하는 방법이 필요함. 정보 :정보는 의사 결정을 위해 조직화 되고 체계화된 데이터로서 의사 결정권자에게 의미를 제공해야함. 나. 파일 처리 시스템 -각 응용프로그램마다 별도의 데이터 파일 유지 파일 처리시스템의 문제점(데이터의 종속) -학생 관리 응용프로그램 -> 학생 데이터 파일 -성적 관리 응용프로그램 -> 성적 데이터 파일 -학적 관리 응용프로그램 -..
대학원 갈듯하다. 대학원을 갈때 보통은 , 그리고 내가 찾아봤었을때는 관련 학과를 졸업해야 입학이 가능한것으로 확인을 했었다. 그런데, 최근 교수님들을 만나뵈면서 사이버 대학은 대학원을 입학할 때 학과가 중요치 않다는것을 들었다. 신박하다. 그러다보니, 지금 다니는 학교는 그대로 다니면서, 다음학기나 내년즈음 대학원으로 전향하는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들었다. 일단 나의 수준이 낮다보니, 현재 하고있는 공부는 그대로 하되, 매주 목요일즈음 교수님께 가서 세미나를 진행하면서 빠르게 배워나갈 예정이다. 공부를 하면 할 수록 하드코어함이 느껴진다. 이해가 안가면 여러번 보게되고, 밤새 공부하다 자는일도 생기고.... 최소, 내가 1인분을 할때까지는 열심히 해야겠다.
(5주)보안코딩기초 1)취약한 암호화 알고리즘사용 정보보호 측면에서 취약하거나 위험한 암호 알고리즘 사용이 배제됨 컴퓨터 성능의 향상으로 예전에는 해독이 불가능에 가까웠던 시간이 최은 몇시간내에 해독되기도 함 취약한 암호 : (RC2, RC4(스트림 암호), RC5, RC6, MD4, DES)= 대칭키 암호, (MD5, SHA1) = 해시 함수 대칭키 암호는? 키가 대칭으로 정해져 있는 암호문. 즉 암호(key)는 평문 = 암호문 이다. 해시 암호는? 임의의 길이의 입력을 하면 HASH 과정을 거쳐 고정 길이의 암호문을 출력하는것(128비트 160비트) cpuu.postype.com/post/580053 **주의사항 자신만의 암호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것은 위험 학계에서 이미 검증된 표준 알고리즘 사용 3DES, AES, S..
5주차 (컴퓨터학개론) 1.운영체제(OS)의 개요 -사용자와 컴퓨터 시스템 사이에 위치하여 컴퓨터 시스템을 전반적 동작 제어 및 조정, 편리성을 제공하여 한정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여러 시스템 프로그램들의 집합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 사용자는 프로그램으로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이 운영체제인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응용프로그램>운영체제>하드웨어)=컴퓨터 시스템 1983년 윈도우 3.0 처음 출시 ->1993년 윈도우 3.1에서 GUI 사용(운영 체제라기보다 운영 환경에 불과한것, 도스가 실질적 운영체제) 1)윈95/98 실질적 GUI 운영체제 -파일 시스템 외에는 도스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실질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채택한 하나의 독립된 운영체제 2)윈NT/20..
4주차 (정보보호개론) 1. 인증 기술 가. 사용자 인증 기술 1)패스워드 기반 : 사용자 신원정보(이름 ID)와 함께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서버에 저장하는 값과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인증 2)시도-응답 : 자기 자신만이 소유하고 있는 어떤 비밀정보를 자신이 알고 있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프로토콜 3)영지식(zero-Knowledge) 비밀 정보를 실제로 알고 있다는 사실만을 상대방이나 서버에 확신 시켜주는 방법 나. 메시지 인증 기술 MAC : (Message Authentication Code) 메시지 데이터와 무결성을 동시에 보증하는것 MDC : (Manipulation Detection Code) 충돌성과 강한 충돌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메시지의 대표적인 해시값을 제공하는 것(조정 탐지 코드) 전자서명 : (Digi..
4주차 (컴퓨터 개론) 1. 프로그래밍 언어 -사람과 컴퓨터가 서로 의사교환을 하기 위함 -사람이 컴퓨터에게 지시할 명령어를 기술하기 위함 -주어진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인공적인 언어를 의미 가. 프로그래밍 공부하는 이유 -효율적 알고리즘 개발 능력 향상 -현재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능력을 향상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는 최적 언어를 선택 -다른 언어를 쉽게 배울 수 있음 프로그래밍 언어의 분류 -저급 언어와 고급 언어 저급언어 : 기계어 어셈블리어 1)주 기억장치, 레지스터, 마이크로 프로세서, 입출력 포트등의 하드웨어를 직접 통제. 2)저급 언어를 사용하기 위해 전문적 공부가 필요 3)고급 언어에 비해 언어 자체가 어려워 전문가라 하더라도 프로그램의 생산성이 낮음 -기계..
3주차 내용(정보보호개론) 용어 의미 키 관리 암호화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암호화적 키들을 안전하게 다루기 위한 키의 생성, 등록, 보관, 폐기 등과 같은 일련의 절차를 제공 목표 -비밀키 또는 개인키의 외부노출 방지 -키 불법적 변조 방지 -유효기간이 지났거나 이미 취소된 키의 불법적 사용 방지용어 의미 키 관리 암호화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암호화적 키들을 안전하게 다루기 위한 키의 생성, 등록, 보관, 폐기 등과 같은 일련의 절차를 제공 목표 -비밀키 또는 개인키의 외부노출 방지 -키 불법적 변조 방지 -유효기간이 지났거나 이미 취소된 키의 불법적 사용 방지 키 설정(Key Establishment) 암호방식을 구현하기위하여 둘 또는 더 많은 사용자나 또는 모듈 안에서 안전하게 비밀정보가 만들어지는 과정 키 전송(Key Transpo..
2주차 수업정리(컴퓨터학 개론) 1. 컴퓨터의 자료 표현 가. 자료의 정의 -협의의 자료 -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필요한 것 -광의의 자료 -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을 이용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재료 1) 자료 표현 원리 -0과 1로 문장 표현 -두가지 자료 표현 : 컴퓨터 내부에서는 두가지 전기신호만을 표현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고 저장.(전원 on, off) 2)비트, 바이트, 니블, 워드 -비트(bit) : 정보 처리 단위중 가장 작은 정보 단위(Binary digit) 바이트(byte): 비트가 연속적으로 8개 모인 정보 단위. 1바이트 = 8비트 조합 : 총 256(2^8)가지종류의 정보 저장 가능 니블(Nibble): 바이트의 1/2크기인 4비트 워드(word) : 4개의 바이트 모..